처음 윈도우 10의 그림판을 접했을 때의 제 경험담을 먼저 공유합니다. 아주 간단한 도구지만, 손에 익으면 아이디어를 바로 시각화하고 빠르게 보정하는 데 큰 힘이 되었습니다. 복잡한 기능 대신 직관적이고 가벼운 사용성이 초보자에게 특히 도움이 되었고, 작은 그림이나 아이디어 스케치를 거듭 다듬는 과정을 재미있게 만들어 주었습니다. 이 글은 그런 경험을 바탕으로, 초보자도 차근차근 따라 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수정한 사용 가이드입니다. 필요 시 공식 자료를 함께 참고하면 이해가 더 깊어집니다. 자세한 도움말은 Microsoft의 지원 페이지를 참고하세요: Microsoft 지원 페이지. 윈도우10 그림판 사용법 입니다.

그림판 실행하기

  • 가장 쉬운 방법(검색)
    • 화면 왼쪽 아래의 시작 버튼을 클릭하거나 Windows 키를 누릅니다.
    • 검색창에 그림판 또는 paint를 입력하고 엔터를 칩니다.
    • 검색 결과에서 그림판 앱을 클릭하여 실행합니다.
  • 시작 메뉴에서 찾기

그림판 인터페이스 알아보기

초보자도 금방 적응할 수 있도록 구성 요소를 간단히 살펴봅니다. 아래의 핵심 부분은 화면의 변화에 따라 위치가 다를 수 있지만,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구성됩니다.

  • 빠른 실행 도구 모음: 저장, 실행 취소, 다시 실행 등의 기본 버튼이 모여 있습니다.
  • 파일 탭: 새로 만들기, 열기, 저장, 인쇄 등의 메뉴가 위치합니다. 필요한 작업을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리본 메뉴(홈, 보기 탭): 기능의 핵심이 모여 있는 영역입니다.
    • 홈 탭: 그림 그리기 도구(연필, 채우기, 텍스트, 지우개, 색 선택, 돋보기), 도형, 색상 등의 주요 기능이 모여 있습니다.
    • 보기 탭: 확대/축소, 눈금자, 격자선, 상태 표시줄 표시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  • 그림판 영역(캔버스): 그림을 그리거나 편집하는 주 작업 공간입니다.
  • 색 1(전경색)과 색 2(배경색): 도구에 따라 사용할 색상을 선택하는 칸입니다.
  • 색상표: 기본 색상과 사용자 지정 색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.
  • 상태 표시줄: 현재 확대/축소 비율, 커서 위치, 그림의 크기 등 상태 정보를 보여줍니다.

기본적인 그림 그리기 도구 사용법

3.1 연필, 브러시, 지우개

  • 연필: 자유로운 선 그리기에 적합합니다.
    • [홈] 탭의 [도구] 그룹에서 연필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    • [크기]에서 선의 굵기를 선택합니다.
    • [색 1]에서 원하는 색을 선택합니다.
    • 그림판 영역에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채 드래그해 그림을 그립니다.
  • 브러시: 다양한 질감의 선을 그리고 싶은 경우에 사용합니다.
    • [홈] 탭의 [브러시] 그룹에서 브러시를 선택합니다.
    • 크기와 색상을 연필과 비슷하게 맞춥니다.
    • 캔버스에 드래그해 원하는 선을 그립니다.
  • 지우개: 잘못 그린 부분을 지웁니다.
    • [지우개] 아이콘을 클릭하고 크기를 정합니다.
    • [색 2]를 선택해 일반적으로 흰색으로 지웁니다.
    • 지우고 싶은 영역에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눌러 드래그합니다.

3.2 채우기(페인트 통)

  • 특정 영역을 한 가지 색으로 채울 때 사용합니다.
    • [도구] 그룹의 색 채우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    • [색 1]에서 채울 색을 선택합니다.
    • 닫힌 공간을 클릭해 채웁니다. 닫히지 않은 공간은 색이 새어나올 수 있습니다.

3.3 도형

  • 사각형, 원, 선, 삼각형 등 미리 정의된 도형을 그립니다.
    • [도형] 그룹에서 원하는 도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    • 윤곽선과 채우기 스타일을 선택합니다.
    • [크기]에서 도형의 두께를 설정합니다.
    • [색 1]로 윤곽선 색, [색 2]로 채우기 색을 고정합니다.
    • 캔버스에서 마우스로 드래그해 도형을 그립니다. Shift를 누르면 비율을 유지한 채로 그려집니다.

3.4 텍스트

  • 이미지에 글자를 추가합니다.
    • [텍스트]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    • 캔버스에 텍스트 상자를 만들고 글자를 입력합니다.
    • 텍스트 도구에서 글꼴, 크기, 기울기, 굵기, 밑줄 등을 설정합니다.
    • 상자를 벗어나 클릭하면 글자가 그림에 고정됩니다.

이미지 편집 기능

4.1 이미지 불러오기

  • 왼쪽 위의 파일 탭을 클릭합니다.
  • 열기를 선택해 편집하고 싶은 이미지를 불러온 뒤 열기를 클릭합니다.

4.2 선택

  • [홈] 탭의 [이미지] 그룹에서 [선택]을 클릭합니다.
  • 사각형 선택 또는 자유형 선택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.
  • 원하는 영역에 마우스로 드래그해 선택합니다.
  • 선택 영역은 이동, 복사, 잘라내기가 가능합니다(Ctrl+C, Ctrl+X, Ctrl+V).
  • [투명한 선택 영역] 옵션을 체크하면 선택 영역 이동 시 배경색이 투명하게 처리됩니다.

4.3 자르기

  • 선택 도구로 원하는 영역을 먼저 선택합니다.
  • [홈] 탭의 [이미지] 그룹에서 [자르기]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
4.4 크기 조정 및 기울이기

  • [크기 조정 및 기울이기]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  • [크기 조정] 탭에서 가로/세로를 픽셀 또는 백분율로 조절합니다.
  • [가로 세로 비율 유지]를 체크하면 원본 비율이 유지됩니다.
  • [기울이기] 탭에서 각도 조절이 가능합니다.

4.5 회전

  • [회전] 옵션에서 원하는 각도(90도, 180도 등)를 선택합니다.
  • 또는 상하/좌우 대칭 이동으로 그림을 뒤집을 수 있습니다.

그림 저장하기

  • 왼쪽 위의 파일 탭에서 저장 또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합니다.
  • 저장을 선택하면 기존 파일을 덮어쓰거나 새 그림 저장이 가능합니다.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하면 파일 형식을 바꿀 수 있습니다.
  •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하면 저장 형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PNG 그림: 압축률이 좋고 투명 배경을 지원합니다.
    • JPEG 그림: 사진 저장에 널리 사용됩니다.
    • BMP 그림: 비압축으로 화질이 좋으나 파일 크기가 큽니다.
    • GIF 그림: 색상이 제한적이며 정적 이미지 저장에 적합합니다(애니메이션은 지원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).
  • 저장 위치를 선택하고 파일 이름을 입력한 뒤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유용한 팁!

  • 실행 취소/다시 실행: 실수할 때는 Ctrl+Z로 실행 취소, 다시 원래대로 되돌리려면 Ctrl+Y를 사용합니다. 빠른 실행 도구 모음에도 이 기능이 있습니다.
  • 확대/축소: 보기 탭의 확대/축소 버튼이나 상태 표시줄의 슬라이더를 이용해 작업 배율을 조절합니다.
  • 색상 선택 도구(스포이드): 특정 색상을 그대로 뽑아 사용하고 싶을 때 도구 그룹의 스포이드 아이콘을 클릭하고 원하는 부분의 색상을 클릭하면 색상 1에 적용됩니다.
  • Paint 3D: 윈도우 10에는 그림판 외에도 더 다양한 3D 기능을 갖춘 Paint 3D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. 보다 다채로운 표현을 원하시면 Paint 3D를 함께 활용해 보세요. 더 자세한 정보는 Paint 3D 소개 페이지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.

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차근차근 연습하면, 초기의 단순한 그림에서 점차 복잡한 편집 작업까지도 자연스럽게 해낼 수 있습니다. 처음에는 작고 간단한 프로젝트부터 시작해 보세요. 예를 들어 간단한 로고 모음이나 일상의 사진을 보정하는 데부터 시작하면 금방 자신감을 얻으실 수 있습니다. 이 글을 통해 각 기능을 하나씩 따라 해 보시고, 필요하다면 직접 만든 예제 이미지를 공유해 주시면 서로의 노하우를 더 빠르게 확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