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에게도 PDF 용량 문제는 늘 실무의 관건이었습니다. 여러 사람과 공유해야 하는 파일은 크기가 커져 전송이 어려워지곤 했고, 용량을 줄여도 정보가 손실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이 컸습니다. 그러던 중 어도비 아크로뱃의 다양한 기능을 차근차근 시도하며,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용량을 줄이는 방법을 조금씩 익히게 되었습니다. 아래 내용은 제 경험을 바탕으로, 가장 쉽고 효과적으로 PDF 용량을 줄이는 방법을 순서대로 정리한 것입니다. 본문에 소개하는 기능들은 모두 Adobe 공식 도구를 활용하는 방법으로, 필요에 따라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.

가장 쉬운 방법: 용량 줄이기 기능 활용

다음은 가장 간단하고 빠르게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.

  1. PDF 파일 열기: 어도비 아크로뱃으로 용량을 줄이고 싶은 PDF 파일을 엽니다.
  2. 호출 경로 따라 가기: 파일(File) 메뉴에서 용량 줄인 PDF로 저장(Reduce File Size PDF) 또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(Save As Other) > 용량 줄인 PDF(Reduced Size PDF)를 선택합니다. 버전에 따라 파일(File) > 용량 줄이기(Reduce File Size)로 바로 나오기도 합니다.
  3. 호환성 선택: 열리는 창에서 현재 버전 유지 등 기본값을 선택하거나 필요에 따라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고릅니다. 일반적으로 최신 버전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  4. 저장: 확인을 눌러 새로운 파일 이름으로 저장하면 원본보다 크기가 줄어든 PDF가 생성됩니다.

– 장점: 절차가 간단하고 아주 빠릅니다.
– 단점: 세부 조정이 불가능하여 품질이나 용량 감소 폭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습니다.

세밀하게 조절하는 방법: PDF 최적화 기능 활용

보다 체계적으로 용량을 줄이고 싶다면 PDF 최적화를 이용합니다. 이미지 품질, 글꼴 포함 여부 등 다양한 항목을 직접 조절할 수 있습니다.

  1. PDF 파일 열기: 어도비 아크로뱃으로 편집하려는 PDF를 엽니다.
  2. 도구 선택: 도구(Tools) > PDF 최적화(Optimize PDF) 또는 파일(File) > 다른 이름으로 저장(Save As Other) > 최적화된 PDF(Optimized PDF)를 선택합니다.
  3. 최적화 설정: PDF 최적화 창이 나타나면 아래 항목들을 조정합니다.
    • 호환성: 생성되는 파일의 최소 열림 버전을 정합니다. 일반적으로 기본값을 유지합니다.
    • 이미지(Images):
      • 이미지 다운샘플링 및 압축(Downsample and Compress Images): 가장 큰 용량 감소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.
      • 다운샘플링(Downsample): 해상도를 낮춥니다(예: 150ppi 이상 이미지를 72dpi로 변경). 필요 시 적정 수치를 선택합니다.
      • 압축(Compression): JPEG/JPEG2000은 사진에 적합하며 품질을 조절합니다(높음/중간/낮음). ZIP, RLE은 무손실 압축으로 텍스트나 선 위주에 유리합니다.
    • 글꼴(Fonts):
      • 모든 글꼴 포함 해제(Unembed all fonts): 글꼴을 제거해 용량을 줄일 수 있지만, 열 때 글꼴이 바뀔 수 있습니다.
      • 글꼴 부분집합 포함(Embed only subset fonts): 사용된 문자만 포함하여 용량을 절약하는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방법입니다.
    • 투명도(Transparency): 투명도가 많이 사용된 파일은 병합 설정을 통해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.
    • 개체 버리기(Discard Objects), 사용자 데이터 버리기(Discard User Data): 주석, 양식 필드, 첨부 파일, 북마크, 메타데이터 등을 제거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. 필요 없다고 판단될 때만 사용합니다.
    • 정리(Clean Up): 불필요한 스트림 압축 및 기타 불필요 데이터를 제거합니다.
  4. 저장: 설정을 마치고 확인을 눌러 새 이름으로 저장합니다.

– 장점: 이미지를 포함한 다양한 요소를 균형 있게 다루며 품질을 상대적으로 잘 유지하면서 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– 단점: 옵션이 많아 초기에 이해가 필요하고, 최적화의 결과가 문서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.

어도비 온라인 툴 활용 (Acrobat Online)

컴퓨터에 아크로뱃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웹에서 간편하게 처리하고 싶을 때 이용합니다.

  1. 압축 페이지 접속: 어도비의 온라인 압축 페이지에 접속합니다.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. 어도비 온라인 압축 페이지.
  2. 파일 업로드: ‘파일 선택’ 버튼을 클릭해 용량을 줄이고 싶은 PDF를 업로드합니다. 또는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해도 됩니다.
  3. 압축 강도 선택: 높음, 중간, 낮음 중에서 선택합니다. 일반적으로 중간이 무난합니다.
  4. 압축 및 다운로드: 웹사이트가 자동으로 파일을 압축하고, 다운로드 버튼을 통해 용량이 줄어든 PDF를 저장합니다.

– 장점: 프로그램 설치 없이 인터넷 연결만으로 바로 이용 가능하며, 방법이 비교적 직관적입니다.
– 단점: 업로드 과정에서 보안 이슈를 주의해야 하며, 섬세한 최적화 옵션은 제공되지 않습니다.

팁: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

다음은 용량 관리의 여유를 더해 주는 실질적인 팁들입니다.

  • 원본 파일의 해상도 관리: 원문 문서를 만들 때 이미지 해상도를 미리 적절하게 낮추면 PDF 변환 시 전체 용량이 훨씬 줄어듭니다.
  • 스캔한 PDF의 경우 주로 이미지 기반이 많아 용량이 큽니다. 이때는 PDF 최적화의 이미지 다운샘플링과 압축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  • 한 번에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여러 번 시도해 보세요. 최적화 설정 값을 달리하면 서로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  • 항상 원본 PDF의 백업을 남겨 두는 습관이 필요합니다. 원하지 않는 변경이 발생하더라도 원본으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.

다양한 방법을 차근차근 시도하면, 크기가 큰 PDF라도 상황에 맞게 용량을 충분히 줄일 수 있습니다. 가장 쉬운 방법부터 시작해 보고, 필요하다면 더 세밀한 조정을 통해 최적화를 시도해 보시길 권합니다. 원본 파일은 언제나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