맞벌이를 하면서도 아이들 양육비, 교육비, 생활비를 감당하다 보면 늘 빠듯합니다. 특히 배우자 없이 아이를 키우는 가정의 경우 정부의 한부모가족 지원 제도가 큰 도움이 됩니다. 그런데 매년 기준이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에, 내년에 받을 수 있는 지원 자격을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
2026년 한부모가족 지원금 기준은?

현재는 2025년 9월이므로, 2026년도 지원금 기준은 정부 예산안이 최종 확정되어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. 다만, 매년 소득 기준 비율과 기준 중위소득이 갱신되기 때문에, 올해(2025년) 적용된 기준을 토대로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.

2025년 한부모가족 지원 기준

  • 일반 한부모가족: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% 이하일 경우 지원 가능
  • 청소년 한부모가족: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5% 이하일 경우 지원 가능

여기서 ‘소득인정액’은 단순히 월 소득만 보는 것이 아니라, 주택·토지·예적금·자동차 등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까지 포함해 계산됩니다.

지원 항목 예시

한부모가족으로 인정될 경우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지원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아동양육비: 만 18세 미만 자녀 양육 가정에 지급
  • 추가 아동양육비: 청소년 한부모 가정 등 특수 상황에서 추가 지급
  • 자립촉진수당: 근로와 자립을 장려하기 위해 제공되는 수당

2026년 기준 전망

2026년에도 일반 한부모가족은 중위소득 63% 내외, 청소년 한부모는 65% 내외의 비율이 유지될 가능성이 큽니다. 하지만 물가와 경기 상황에 따라 세부 금액은 달라지므로, 정확한 기준은 보건복지부가 발표하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이 확정되어야 알 수 있습니다.

확인 방법

정확한 기준과 금액은 올해 말 또는 내년 초에 공식적으로 공지됩니다. 최신 정보를 확인하려면 다음 경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.

  • 보건복지부 홈페이지
  • 여성가족부 홈페이지
  • 거주지 행정복지센터 상담

저 역시 매년 기준이 바뀔 때마다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문의해 확인하는데, 현장에서 상담을 받으면 지원 자격뿐 아니라 신청 절차까지 자세히 안내받을 수 있어 도움이 되었습니다. 미리 확인해 두면 내년에 지원이 필요한 시점에 놓치지 않고 신청할 수 있을 것입니다.